post

레이블이 worl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orl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가장 나쁜 평화의 몇가지 예들' :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관하여

https://damoang.net/free/3169443?sfl=wr_subject%7C%7Cwr_content%2C1&stx=%EC%B9%B4%EB%A5%B4%ED%83%80%EA%B3%A0&sop=or

온라인 커뮤니티 다모앙, '눈가리고아앙' 이 쓴 글이다

-------------------

우러전 관련해서 조금 생각을 나누고 싶은 부분이 있어 끄적여봅니다.


1. 3차 포에니 전쟁

포에니 전쟁은 로마와 카르타고의 지중해패권을 둘러싼 대전쟁입니다

칸나이 전투로 유명한 한니발이 자마전투에서 스키피오에게 패한 2차 포에니전쟁 결과

로마가 카르타고에 제시한 가혹한 강화조약중 '무허가 교전금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로마의 동맹국 누미디아가 카르타고를 자꾸 군사적으로 침범하고 건드리자 

자위적으로 행한 군사행동을 빌미로 로마 원로원은 카르타고에게 선전포고를 떄립니다

아마도 '가장 나쁜 평화가 전쟁보다 낫다'는 관점에서 카르타고는 굴욕적으로 사과와 함께 강화를 요청했고로마는 무기몰수등의 조건을 내밉니다

전쟁을 두려워한 카르타고는 이에 따랐으나 그 결과는 로마의 수도 추방령이었고

지배층 상당수가 도망친 카르타고 수도에서 3년여의 격렬한 수비전을 벌이던 카르타고 시민들은 전쟁중 사망하거나 패전후 모두 노예가 되고 그 땅은 폐허이하의 땅이 되어버립니다


2.  오사카의 겨울/여름 전투

전국시대 말기 히데요시 사후 일본은 도요토미 계 vs 도쿠가와 계로 갈라지게 되고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요토미 계열의 이시다 미츠나리가 패하고 전국대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잡게 됩니다

그러나 에도(현 도쿄)가 근거지인 이에야스의 영향력은 교토 서부나 규슈까지는 그렇게 공고하지 못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정복할 군사적, 물적 역량은 부족했기 때문에 꽤 오랜시간 힘을 기르기로 하였습니다

한편 서군측의 상황을 보면 히데요시와 요도도노(오다 노부나가의 조카딸)의 아들이 있었으나 어렸기 때문에 차차를 위시하는 반 섭정구조로 도요토미 가문의 세력은 컸지만 결속력과 지배력은 다소 부족했습니다

몇몇 영주들이 내부에서 경쟁하며 서로 파먹는 일도 발생할 정도로요

그렇게 십수년 두 세력의 차이가 벌어지다가 결국 1614년 두 차례에 걸친 오사카 전투가 벌어지게 됩니다

오사카성의 방여력에 확실한 승부를 내지 못하던 도쿠가와는 서양대포를 이용해서 일종의 허장성세를 펼치는데

이 와중에 운나쁘게도 차차의 주변에 있던 시녀들이 눈먼 대포알때문에 폭사하는 광경을 목격하고 성이 동요하자 이에야스는 강화조건을 거는데

그중 하나가 전술적으로 도저히 넘기 힘들었던 오사카 성의 '해자'를 메우고 '외성'을 허물라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그 '나쁜 평화'가 작동하여 

적지않은 가신과 지휘관들이 결사항전만이 살길이라 간언했음에도

많은 낭인들과 군병유지에 드는 천문학적인 비용문제와 보신주의에 빠진 차차는

해자와 외성의 해체를 받아들이고 도쿠가와는 재빨리 실행해버립니다

그 후 안되겠다 싶어 다시 해자를 파고 외성을 세우려 하지만

기다렸던 도쿠가와는 해자도 외성도 없는 오사카성을 3배의 병력으로 들이치고

도요토미 가문은 멸망하고 도쿠가와의 에도막부가 열리게 됩니다


어떻게 보면 선택의 여지가 없는 수명연장의 지푸라기일 수도 있고

또 어떻게 보면 잘못된 선택들의 누적으로 결국 피할 수 없게된 비극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가장 나쁜 평화가 패전의 서막이었던 것이라면

그건 아마도 진즉에 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평화처럼 보였지만 사실은 이미 평화상태가 아니었던 것이죠


어느 한쪽을 두둔하거나 미화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만

우리에게 러우전쟁의 의미는 어느 쪽이 옳다 그르다를 정하는 것 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그동안의 발자취를 조금 긴 호흡으로 살펴보고

어떻게 해야 양측에서 벌인 실수를 피할 수 있느냐에 집중되면 좋겠습니다

------------------

코스피 지수 관찰 및 매매

 2024년 12월 1일 작성.


현재 코스피 지수는 2455 임.

11월에 2380까지 내려간 적이 있다

한국경제의 내수 부진과 반도체 업황 바사삭의 영향으로 

코스피 상태가 영 좋지 않다

평균적으로 쬐끔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박스피 상태인것은 매한가지.

 

코스피 지수가 얼마까지 오를것인가 보다는 

어디까지 하락할 것인가를 한번쯤 생각해 봐야 한다

많은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의 가치와 자본상태 등등을 고려해 봤을때

2000대 초반 아래로는 내려가기 힘들다고 보고 있다. 

만약 그 아래로 내려간다 하더라도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지수가 2000대 후반이라면 아예 쳐다보지도 않겠지만

지금은 계속해서 지수의 변화를 계속 관찰하면서

크게 하락해서 2000대 초반이 된다면 매수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개인적으로는 지수가 2200~2300을 한번쯤은 다시 터치하지 않을까 싶고

2000~2100까지도 내려갈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 

미국 증시 대폭락이 발생할수도 있다. 

한국 증시 대폭락은 미국 대폭락보다 살짝 먼저 오고 먼저 끝나는 경향이 있다


미국 반도체 업황이 개선된다면 한국 증시에도 좋겠지만 

이 트럼프 2.0 시절에 언제쯤 개선되려나...

 




SOXL ETF 관찰 및 매매

24년 12월 1일 작성. 


현재 soxl 가격은 28.06달러임. 

24년 7월 70달러까지 올랐던 주가가 절반도 훨씬 아래로 내려와 있다. 

1배 etf인 soxx의 경우 올해 7월 260달러였으나 현재 210달러 선임.


1. 반도체 업황. 

미국의 강력한 중국 견제로 반도체 업황을 좋을리 없다고 봄. 

긍정적인 면은, 

- 이미 상황이 너무 나빠서 이보다 더 나빠지기도 쉽지 않겠다

- 반도체 없으면 AI고 뭐고 아무것도 못만든다 근본산업은 긴 호흡으로 봐도 된다


2. 현재 상태보다 더 주가가 내려갈 가능성 있다고 본다. 

1배 etf인 soxx 가 180달러, 

혹은 미국 증시의 대폭락이 일어나거나 다른 이벤트가 있다면

극단적으로는 150 달러까지 갈 가능성도 있다고 봄.

하락하더라도 회복은 될 것이라고 보지만, 문제는 속도가 느릴것임. 


3. 오히려 현 상황에서는 하락하더라도 분할 매수-물타기를 각오하고 

soxl을 매수하는 것이 더 좋은 전략이지 않나 싶다

극단적인 수준까지 하락한다면 10달러까지도 가능성 있어보인다. 

25달러, 20달러, 15달러에 매수전략을 세워 놓았다. 


4. 레버리지 ETF는 하락의 가능성이 있거나

하락하더라도 존버하겠다는 생각으로 하면 절대 안된다고 본다

원금손실, 시간손실, 기회손실이 발생하므로 무조건 상승할때만 해야한다  

현재 상태를 봤을때 SOXL 매수를 시도해 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보임. 



미국 폭락장 언제올지 모른다.

확실한 것은 몇개월 전보다 대폭락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이 줄었다는 점. 

이럴때엔,

- 대폭락이 오면 오히려 쥽쥽하기 더 좋다고 생각하고 현금많이 쌓아둘 것.

- 대폭락이 와도 회복가능하고 너무 큰 손실 나지 않을 

너무 많이 올라서 고점스러운 투자처에 손대지 않는 것.

이것 외에 소시민이 할수 있는 것이 있을까?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C)의 2024년 연례보고서(번역본)

<<<번역본 다운로드>>>

미국 연방의회의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C)가 
2024년 연례보고서를 냈는데,
(미-중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USCC, 이하 “미중위원회”)는 2000년 10월에 설립되어, 매년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및 경제 관계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조사하여 중국 관련 입법과 정책을 권고하는 미 의회 자문기관임)

내용을 살펴보면,(상단의 번역본을 참조바람)
2023년 보고서와 비교했을 때 주요골자는 비슷하지만

가장 다른 점이라면 

'인공일반지능(AGI) 의 역량 강화에 전념하고, 주도권을 뺏기면 안된다'
라는 내용이 가장 첫번째로 적어놨으며, 또 아주 강한 어조로 강조했다는 점이다
(AGI - 모든 인지영역에서 인간 능력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나며 모든 작업에서 가장 뛰어난 
인간의 정신 수준을 능가하는 시스템을 말함)

그 외에도 
- 생명공학 영역에서의 역량 강화
- 중국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기술 수입의 제한과 금지
- 800달러 미만의 상품 비관세 제도를 폐지할것
-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리콜 및 안전 표준적용을 시행할것
(아마도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 이야기일 것임)
- 중국으로의 중요제품 수출 통제
- 중국에 대한 정상무역관계를 폐지할 것
(중국은 지적재산권 도용및 시장 조작 등등 도무지 정상무역을 할수 없는 국가라고 보고 있음음)

등등의 내용이 있다

리포트를 읽어본 느낌이라면.
- 중국이 아시아 지역과 중동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군사적 영향이 크다고 보고있음
- 미국은 중국을 우습게 보고 있지 않다
- 중국은 강국이 될 기술 자원 역량이 있다고 보고 있으며
- 미국은 중국을 적에 가까운 경쟁자로 보고 있고 아주 확실히 그리고 강하게 견제할 것임
- 미국은 AI 기술을 선점하는 것에 국가의 흥망을 걸고있는 수준으로 보임.
- 미국은 과거에도 현재도 앞으로도 중국을 견제할 것이 예상되니
아마도 미중 갈등과 중국에 대한 경제적 제재는 더 강해질 듯.